파주 와동리Ⅳ 유적은 파주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경기 서북부의 주택난 해소를 위해 파주시 교하읍 일원에 파주 운정(1)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지표조사를 통해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2002년에 연세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조사에서 유적·유물산포지는 89곳이 확인되어 2005~2006년 동안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45개 지점에 대한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굴조사 결과, 32개 지점에서 구석기시대, 청동기시대~조선시대에 해당하는 다수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32개 지점에 대하여 1~10차에 걸쳐 단계별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와동리Ⅳ 유적은 2차 발굴조사로서 12지점·16지점·20지점·21지점이 해당하며, 구석기시대, 초기철기시대~조선에 이르는 유구와 유물을 확인하였다.
구석기시대 유구는 12지점에서는 1개의 유물층, 16지점에서 1개의 유물층과 3개의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12지점에서는 최상부토양쐐기가 확인되는 제4기 갱신세퇴적층과 기반암풍화대 사이의 황갈색사력층에서 석영, 석영맥암, 규암 등의 돌감을 사용한 만든 몸돌, 격지를 비롯하여 찍개, 여러면석기, 긁개, 밀개, 홈날, 찌르개 가 출토되었다. 16지점에서는 몸돌과 격지를 비롯하여 주먹도끼, 주먹찌르개, 찍개, 큰밀개, 여러면석기, 긁개, 밀개, 홈날, 모룻돌, 망치돌 등과 되붙는 석기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대부분 석영, 석영맥암, 규암을 돌감으로 사용하였으며, 강자갈돌의 자연면을 가진 유물도 다량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비교적 강자갈돌을 구하기 유리한 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퇴적층과 유물의 출토양상, 그리고 운정 일대의 유적들과의 비교를 통해 중기구석기시대 말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철기시대 유구인 21지점 11호주거지는 평면 방형이며, 내부시설로 기둥구멍 5개과 벽구, 노지 1기가 확인되었고 두형토기, 원형점토대토기편, 흑도장경호편, 적갈색연질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원삼국~백제시대의 유구는 20지점과 21지점에서 주거지 8기와 수혈 1기가 조사되었다.
주거지는 대부분 일조량이 풍부한 구릉 정상부나 남사면 중간부에 조성되었다. 평면형태는 방형이며 백제주거지인 20지점 3호·5호 주거지는 육각형 주거지로도 추정된. 내부시설로는 기둥구멍과 벽구시설, 노지, 저장공 등이 있다. 노지 20지점 3호·5호 주거지 및 21지점 10호 주거지에서 확인되는데 바닥면에서 원형의 평면형태로 소토 및 소결흔만이 확인된다.
통일신라시대 우물은 평면형태가 원형으로 큰 할석을 우물의 벽을 만들고 작은 할석을 끼워넣어 고정하였다. 유물은 인화문토기 소병 1점과 청동대부완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 유구는 주거지 12기, 수혈 117기, 회가마 1기, 건물지 1기, 구들유구 3기, 분묘 70기, 소성유구 1기, 구상유구 1기 등 총 209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주거지는 평면형태가 방형 또는 장방형이며 내부시설로는 취사 및 난방시설, 주혈 등이 확인되었다. 온돌시설이 갖추어진 3기의 주거지 중 반구들과 전면구들이 시설된 2기의 주거지는 상시주거용 생각된다.
가마는 규모가 소형으로 소성실은 단면이 반원형태를 보이는 터널식으로 연소부에서 이어진지며, 원형의 평면형태를 보인다. 소성실의 바닥면 및 벽면은 생토면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화력으로 인하여 소결되었다. 내부토에서 석회덩어리와 석회편이 확인되었다. 연소부는 방형의 평면형태를 보이며, 아궁이 시설을 연소부 바닥면 보다 10㎝가량 굴착하여 조성하였다. 내부에서 천장에서 함몰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결된 벽체편과 함께 석회편이 다량 확인되었다. 회구부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평면형태를 보이며, 도·자기의 편과 함께 재층이 넓게 퇴적되어 있었다. 전체적인 구조를 보았을 때, 그리 크지 않은 소형이며, 화력의 적절한 조절보다는 고열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조로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가마의 정확한 용도를 알 수 없지만, 자요(磁窯)나 탄요(炭窯)와는 다른 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구조의 가마는 그동안 조사된 사례가 많지 않지만 조사지역 인근인 파주 당하리 유적과 파주 운정(2)지구 7지점에서 비슷한 가마가 확인되었다. 가마의 구조와 내부 출토 양상, 문헌 등을 종합하였을 때, 석회를 생산하기 위해 축조된 가마로 추정된다. 지속적인 자료축적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연구원·한국토지공사, 2010, 『파주 와동리Ⅳ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