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호고가(金丙浩古家)는 경기도민속문화재 제5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오촌길49번길 6-1(용문면 오촌리 181번지)이다.
이 집은 조선 말기인 고종(高宗) 30년(1893)에 건립된 경기 지방 중농(中農) 계층의 가옥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 집은 고종의 내시(內侍)로 지내던 분이 물러나면서 왕의 하사금(下賜金)을 받아 건립하였다고 한다.
전체적인 집의 배치는 튼 口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남서향으로 자리잡은 안채는 2칸의 대청마루와 그 좌우로 안방과 건넌방이 놓이며, 안방에서 ㄱ자로 꺾여져 부엌이 위치하는 전형적인 우리 나라 중부 지방의 주택 평면을 이루고 있다. 특이한 점은 건넌방에서 방 2칸을 더 덧달아 내고 전면에 반 칸의 툇마루를 두어 사랑의 기능을 갖추도록 한 점이다. 또한 제일 끝의 온돌방에는 방 내부의 북측에 감실을 두고 조상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행랑채는 한국전쟁으로 파괴되었던 것을 후에 다시 복원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조선 말기 상공업의 발달로 인한 중인 계층의 대두(擡頭)로 신분 계층의 질서가 와해되면서 지방 부농 계층의 가옥들이 점차 사랑채와 안채, 그리고 행랑채의 격식을 갖춘 사대부가의 가옥 구조를 따르는 구한말 건축 현상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 출처 : 양평문화원
가옥의 건립연대는 1893년(고종30년)으로 확인된다. 이곳 샛말은 남동쪽으로 면한 얕은 구릉지에 50여 호 정도가 산재해 있는 작은 마을이며, 이 가옥은 마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가옥은 예전에 조선시대 내시가 살았던 집이다. 현 가옥주의 4대조부가 원래 연못이었던 이곳에 3년간 터를 닦아 지은 집으로 전한다. 가옥을 지은 목수는 근처에 있는 용문사를 지은 대목수였다고 한다. 가옥주에 의하면 원래 이 집은 99칸 규모의 큰집이었으나, 일제 강점기때 방화로 현재의 안채를 제외한 모든 부분들이 소실되었고, 사랑채는 해방 후에 다시 지은 것이라 한다. 사랑채는 원래 초가였으나 새마을운동 때 기와지붕으로 개량하였다.
가옥은 장방형 대지에 안마당을 중심으로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마주한 튼‘ㅁ’자형 배치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동남향이고, 사랑채에 난 대문간은 서남향을 하고 있다. 마을길은 동서방향으로 났으며, 안마당으로의 출입은 이 마을길에 연접한 바깥마당과 사랑채의 대문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랑채의 동쪽과 북쪽에는 밭이 있고, 서쪽으로는 이웃집들이 이어져 있다.
안채의 실 구성은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 건넌방, 마루방, 사당이 각 1칸씩 있고, 우측에 2칸 안방이 있고, 안방에서 2칸 부엌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루, 건넌방, 마루방, 사당 부분에는 안마당쪽으로 퇴가 구성되고, 안방과 부엌에는 뒤란쪽으로 후퇴를 구성하였다. 대청의 고주열에는 4분합들문을 달고 문 위에는 빗살광창을 달았다. 안채내의 사당칸의 바닥은 장마루를 깔았으며 사당칸 우측의 마루방은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으로 이용되며, 우물마루를 깔았다. 대청, 툇마루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안채의 가구는 일고주 오량구조이며, 기둥과 보 등의 부재가 매우 견실하며 치목 상태도 양호하다. 안채의 지붕은 한식기와를 올린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안채의 기단은 장대석 외벌대 기단이며, 초석은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사랑채의 실들은 대문간을 중심으로 한 칸 방의 작은 사랑방이 위쪽에 있고, 2칸 큰사랑방, 2칸 광, 1칸 헛간이 아랫쪽에 길게 연이어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의 작은 사랑방과 큰 사랑방은 모두 바깥마당에 면해 툇칸을 구성되었고, 그 전면에 각기 독립된 바깥마당을 갖는다. 작은 사랑방 아궁이는 대문간에 면하여 있고, 큰사랑방 아궁이는 바깥마당 쪽에 있다. 아궁이는 모두 반칸씩 별도의 공간을 할애하여 상부에 다락을 꾸민 것은 경기도 지역 전통민가의 전형식인 수납공간 구성이다. 사랑채는 일고주오량가구이고, 지붕은 시멘트기와를 올린 홑처마 우진각 지붕이다. 사랑채의 기단은 자연석에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였고, 주초는 자연석이다.
안채는 안방과 부엌 부분이 일부 개조된 상태인데, 안방은 측면의 퇴칸을 방으로 개조하였다. 특히 개조 후에도 다시 뒤란 쪽으로 쪽마루를 길게 달아내어 출입의 편의를 도모했는데, 개조 이전 안방과 뒤란 영역간의 관계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기 지역 민가에서는 사당을 별도의 독립된 채로 짓는 경우는 많지 않고, 안채 마루 뒷벽에 감실 형식으로 만드는데, 이 집의 경우는 안채 건넌방 왼쪽에 사당 칸과 이에 부속된 마루방을 별도로 마련했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리고 이 영역과 마루 사이에 위치한 칸반 규모의 건넌방이 마루를 중심으로 하는 생활영역과 사당영역 사이를 완전히 구분하여 두 영역의 독립성을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