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MEDIA OBJECT
문화유산
지정구분 | 도지정유산 |
---|---|
종목/번호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0호 |
명칭(한자) | 용연서원 (龍淵書院) |
유형 | 유적건조물 |
지정일 | 1976-08-27 |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로 72번길 1-5 |
시대 | 조선시대 |
용연서원(龍淵書院)은 1691년(숙종 17)에 이사상(李師相, 1656~1725) 등의 남인계 유생들이 중심이 되어, 이곳에서 은거하며 만년을 보낸 이덕형(李德馨, 1561~1613)과 조경(趙絅, 1586~1669)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남인 집권기인 1692년(숙종 18)에 ‘용연(龍淵)’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경기도 내 남인세력의 유력한 근거지로 향촌교화의 일익을 담당해 왔다.
이덕형의 본관은 광주,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이다. 1580년(선조 13) 별시문과에 급제해 이조정랑, 대사간, 대제학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정주까지 왕을 호종했고, 청원사(請援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파병을 성취시켰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명나라 어사 양호(楊鎬)를 설복해 서울의 방어를 강화하였다. 이어 명나라 제독 유정(劉綎)과 함께 순천에 이르러 통제사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적장 고니시의 군사를 대파하였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 1606~1614)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적극 반대하다가 관직을 삭탈당한 뒤 용진(龍津)으로 물러가 국사를 걱정하다 병사하였다.
조경의 본관은 한양, 자는 일장(日章), 호는 용주(龍洲)·주봉(柱峯)이다. 1626년(인조 4) 정시문과에 장원하여 청요직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사간으로 척화를 주장하였다. 이어 대사간·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뒤 1650년 청나라가 사문사(査問使)의 척화신에 대한 처벌 요구로 영의정 이경석(李景奭)과 함께 의주 백마산성에 안치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와, 1653년 회양부사를 지내고 포천에 은퇴하였다. 1661년(현종 2) 판중추부사로 윤선도(尹善道)의 상소를 변호하다가 대간의 논박을 받고 파직되었고, 숙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용연서원은 임진왜란 당시 이덕형이 세운 공로가 인정되어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이 시행되었을 때에도 존속했다. 한국전쟁 때 사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이후 1986년 강당을 복원하였고, 2021년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각 칸에 이분합의 띠살문을 달았다. 사당 내부의 중앙에는 이덕형과 조경의 위패를, 배면벽의 협칸 양측에는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용연서원’이란 편액이 걸려 있다. 매년 봄·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경기도문화재총람-도지정편1』
※ 『경기도문화재총람-도지정편1』의 내용을 바탕으로 용연서원의 동재와 서재가 2021년 복원된 사실을 추가하여 재구성함
용연서원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