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무관(演武館)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6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400-1번지이다.
조선(朝鮮) 인조(仁祖) 2년(1624)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축성할 때 건립한 것으로 성을 지키는 군사들이 무술(武術)을 연마하던 곳이며 이곳에서 무예가 뛰어난 사람을 뽑아 한양(漢陽)으로 보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당초에는 연무당(演武堂)이라 부르던 것을 숙종(肅宗)때에 수어사(守禦使) 김재호(金在好)로 하여금 개수(改修)하게 하고 연병관(練兵館)이라 쓴 편액(扁額)을 내리었다. 정조(正祖) 때에는 이를 수어영(守禦營)이라 개칭하였으나 그 뒤에도 통칭 연병관(練兵館) 또는 연무관(練武館)이라 부르고 있다.
연무관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비교적 규모가 크고 높이가 높은 육중한 건물로서 멀리서도 그 자태를 알아 볼 수 있을 정도인데 정면쪽은 2단의 기단을 축조한 이중기단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중기단의 중앙에 화강석 계단을 1개소 놓았다. 건물의 기단은 인근에서 채석한 것으로 보이는 비교적 장척의 화강석으로 큼직큼직하게 다듬어 설치되어 있다. 주초석은 정면과 양측면 주초석을 높이가 높은 장주초석으로 하였는데 팔각으로 모를 접은 형식으로 모양을 내었으며 후면쪽 열만 자연석 주초석이 사용되었다. 기둥은 모두 민흘림이 있는 굵직한 원기둥이 사용되었다. 건물내부의 바닥은 모두 우물마루로 되어 있으며 전면쪽은 창호를 내지 않고 완전히 트여있어 개방된 모습이고 후면쪽 툇간열도 바깥쪽을 벽체로 막지 않고 마루도 깔지 않아 회랑형식으로 트여져 있다. 가구고조는 모두 굴도리가 사용된 2고주 7량가의 전형적인 모습이며 공포는 주심도리 부분에 초익공을 둔 조선후기 익공계 양식이다.
연무관 건물의 평면형태와 가구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특이한 점들이 발견된다. 정면이 5칸인데 반하여 후면은 6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면 어칸에 기둥을 1본씩 더 세운 것이다. 따라서 이 기둥열의 건물내부 마루칸 쪽은 대량이 없이 고주주두에 단재의 보머리만 양쪽으로 돌출시켜 놓은 형상이다. 처마는 겹처마로서 비교적 길게 내밀어져 있으며 처마앙곡과 안허리곡이 비교적 세다. 용마루의 양단과 합각마루의 끝부분에는 각각 1개씩의 용두를 놓았으나 추녀마루 끝에는 망와만이 놓여 있다. 그리고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에는 양성바르기를 하였고 건물 네 귀의 사래 끝부분에는 토수(土首)를 끼워 치장하였다.
건물 측면의 합각벽은 박공과 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내부의 천장은 굵은 연목의 몸이 그대로 노출되는 연등천장이고 외기반자쪽만 판재를 대었다. 건물 내외부 모두 모로단청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중앙칸 대량에는 전/후면에 용문을 측면쪽 대량의 한쪽 면에는 봉문이 그려져 있다.
남한산성은 2014년 6월 22일 제3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1번째이며, 경기도에서는 수원 화성에 이어 두 번째이다.
(자료출처 :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경기문화재대관-도지정편』
『남한산성』
『연무관-수리실측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