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소장군묘역(魚有沼將軍墓域)은 동두천시향토유적지 제4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동두천시 광암동 산65이다.
어유소(1434∼1489)장군은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자는 자유(子遊), 본관은 충주이다.
1434년(세종16)에 양주(현 지행동)에서 병마수군절제사 어득해의 아들로 태어났다. 1451년(문종1)에 내금위에 선보되고 1456년(세조 6) 여진 정벌에 큰 공을 세워 회령부사를 지냈다. 1467년(세조13) 5월에 함길도에서 이시애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좌대장으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이 되어 예성군(蘂城君)에 봉해지고 공조판서에 특진되었다. 그 해 겨울 명나라 건주위(建州衛)를 칠 때 좌대장으로 큰 공을 세웠고, 1469년(예종1) 함경북도 절도사, 1471년(성종2) 좌리공신(左理功臣) 4등이 되고 두 차례나 영안북도(永安北道) 절도사를 지냈다. 시호는 정장(貞壯)이다.
묘 앞에는 묘비·상석·무인석이 갖추어져 있고 고령 신씨(高靈申氏)의 묘가 합장되어 있다. 신도비는 화강암의 방형 기단 위에 세워져 있는데 월두형의 비신에 투구형의 옥개(屋蓋)가 조각된 것이 특징적이다. 성종군 어세겸이 찬하고, 안심서의 전액으로 되어 있는 비문은 거의 마모되어 확인되지 않으며 정장공신도비명(貞에壯公神道碑銘)이란 전액이 확인될 뿐이다.
묘역은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는 미군부대 내에 위치하고 있다.
– 구 성 : 봉분 1, 상석 1, 무인석 2
– 봉 분 : 높이 230㎝
– 신도비 : 높이 158㎝, 폭 68㎝, 두께 20㎝
(자료출처 : 동두천시청)
내용 더보기
※ 아래내용 출처 : 경기문화포털
조선전기 무신 어유소 장군의 생애와 관련유적지는?
어유소(魚有沼) 장군은 1434년(세종 16)에 양주현(현 동두천시 지행동)에서 영의정을 지낸 어득해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이 충주이고, 자는 자유(子游)로서, 세조와 성종 때 여진족을 정벌하고 이시애 난을 평정한 조선 전기 대표적인 무신이다.
장군은 1451년(문종 1)에 내금위에 선보되고 1456년(세조 2)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사복시직장, 감찰을 역임하였고, 1460년에는 여진정벌에 공을 세워 통례문통찬을 거쳐 1463년 회령부사가 되었다. 1467년(세조 13) 함길도에서 이시애 난이 일어나자 좌대장으로 출정하여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적개공신 일등으로 예성군에 봉해지고 공조판서에 특진되었다. 이후 함길도 절도사, 영안북도 절도사를 역임하였고 1476년 (성종 7)에는 우참찬이 되어 도총관을 겸임하였으며, 그 이듬해 병조판서에 오르고 의정부 우찬성으로 승진하였다. 1479년 명나라의 원군요 청이 있자 서정대장군이 되어 1만의 군병을 이끌고 출정했으나 압록강 의 해빙으로 도하작전이 곤란하여 회군하였다. 그 뒤 명나라의 보복을 두려워한 대신들에 의해 양근(현 양평)으로 유배되었다.
1488년(성종 19)에 복관되어 판중추부사 겸 이조판서, 도총관으로 국사에 진력하다가 1489년 왕이 군대를 점검하기 위한 경기도 행차 시에 호위하고 따라가다가 영평현(현 포천시 영평면)에 이르러 일사병으로 생을 마감하였는데, 나라에서는 정장(貞裝)의 시호를 내려주었다.
동두천시에는 어유소 장군과 관련된 많은 유적지가 산재해 있고, 설화도 전해져 내려온다. 대표적인 것으로 동두천시 향토문화재 제1호인 사패지 경계석, 제4호인 어유소 장군 묘역, 제7호인 어유소 장군 사당 등의 문화재와 어유소 장군이 태어난 행단마을, 장군이 산에 올라가 화살을 쏘았다는 어등산이 있다. 또 시청 후문과 강변로 사이를 연결하는 4차선 도로는 장군의 시호를 딴 정장로이다.
장군이 태어난 생가는 지행동 214번지 소재 고(故) 이강진 씨 가옥 자리이다. 생가 터 앞에는 수령이 천 년으로 추정되는 은행나무가 있는 데, 어유소 장군이 나무 밑에다 단을 쌓고 학문과 무예를 연마하였다 하여 이 마을 이름이 행단이 되었으며, 마을사람들은 매년 음력 10월 1일 이 나무에 치성을 드리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행단제를 거행하고 있다.
장군의 묘역은 미2사단 영내인 광암동 산65번지에 있는데, 묘역에는 묘비·상석·무인석이 갖추어져 있고 고령 신씨와 합장되어 있다. 신도비는 높이가 158cm로 화강암의 방형 기단 위에 세워져 있는데 월두 형의 비신에 투구형의 옥개가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세겸이 찬하고 안심서의 전액으로 되어 있는 비문은 거의 마모되어‘정장군신 도비명’이란 전액이 확인될 뿐이다. 안타까운 것은 미2사단 영내에 있어 이곳을 출입하려 면 미2사단 민사처에서 사전에 출입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장군의 위패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은 동두천시 탑동 168번지에 있는데, 본래 의 사당은 광암동 장군의 묘역 아래에 있었으나 일제 때 훼손이 심해 현재의 위치로 옮겨놓았다 한다. 본래의 사당이 6·25전쟁 때 불타 없어지고 최근에 목조건물을 신축하고 돌담을 둘렀으며, 위패는 오동나무를 재료로 하여 가로 10cm, 세로 13cm의 규격으로 되어있다. 장군의 사당은 현재 장군의 직계 종손과 종중에 의해 관리 되고 있으며, 관내 청소년들이 정기적으로 향토순례할 때 빠짐없이 들르는 동두천의 대표적인 향토문화재이다.
사패지는 사전 또는 별사전이라고도 하는데, 고려·조선 시대에 주 로 외교와 국방 등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 게 내려준 토지이다. 동두천에는 장군의 사패지 경계석이 남아 있다. 1488년 장군이 임금인 성종과 함께 어등산에 올라 사냥을 하던 중 날아가는 솔개를 쏘아 맞혀 떨어뜨리자 장군의 뛰어난 궁술에 감탄한 성종 이 현재의 동두천시 광암동·걸산동·송내동·지행동·보산동·생연동 일대를 사패지로 하사하였다고 한다. 생연동 생골부락에서 광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마루에서 북향으로 우뚝 솟은 산이 있는데, 이 산이 성종이 어유소 장군의 활 쏘는 솜씨를 보기 위하여 오른 곳이라 하여 어등산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홍양호(洪良浩; 1724~1802)가 지은 『해동명장전』은 삼국시대부터 인조 때까지의 명장 46명의 전기를 엮은 책인데, 어유소 장군은 이순신·권 율 등과 나란히 기록될 정도로 이름을 날린 명장이었다. 그럼에도 몇몇 향토사학자들의 관심만 받을 뿐이어서, 향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장군의 업적이 재평가 받아야 할 것 이다.
『향토유적총람-시·군지정편』
『동두천시사. 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