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은 1968년 국가사적으로 지정관리 된 이후 군사보안상의 이유로 출입이 자유롭지 못했지만 2011년 말 경기도와 고양시가 종합문화유적지로 발전시키기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문화사업팀을 구성하고 지표조사 등이 있었으며 체계적인 종합정비계획수립이 필요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북한산성 종합정비계획》을 발간하였습니다. 본 자료에서 배경과 목적, 연구방법, 조직, 자문회의 기대효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_21
Ⅰ연구개요
1. 배경 및 목적_24
2. 개요_25
3. 방법_26
4. 연구조직_28
5. 진행경과 및 자문회의_29
Ⅱ. 일반현황
1. 교양시 일반현황_42
2. 고양시 문화재현황_60
3. 대상지역 일반현황_69
Ⅲ. 유적현황 및 분석
1. 문헌조사_78
2. 북한산성 유적현황_94
3. 축성과 축성이후 관리_125
4. 활용 및 홍보현황_128
Ⅳ. 기본구상
1. 기본방향_134
2. 계획의 기본방향_137
3. 관련계획 및 법규_139
4. 유사사례_175
Ⅴ. 종합정비 기본계획
1. 문화재구역 및 영향검토구역에 대한 정비계획_188
2. 학술조사계획_195
3. 유적정비계획_200
4. 보존·관리계획_205
5. 활용 및 홍보계획_227
Ⅵ. 추진계획
1. 추진계획_238
2. 투자계획_243
3. 관리운영계획248_
Ⅶ. 기대효과 및 미래상
1. 학술적 의의_254
2. 사회·문화적 의의_255
3. 종합의경_256
부록
부록 1. 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