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 주거지 14기(이중구연 구순각목문토기, 공열토기, 대부옹, 석도, 석촉, 석부, 석검, 지석 등) 원삼국~삼국시대 주거지 5기(발형토기, 장란형토기, 단경호, 직구호, 주구토기, 중도식토기편, 시루, 철겸 등) 조선시대 이후 주거지 23기(자기·도기·기와편) 원삼국~삼국시대 수혈 8기(파수부동이, 장란형토기, 단경호, 발형토기, 중도식토기완 등) 조선시대 이후 수혈 15기(동이, 자기·토기·기와편) 원삼국~삼국시대 주구토광묘 4기(단경호, 지석) 원삼국~삼국시대 분구묘 4기(대옹, 철서, 주조철부 등) 원삼국~삼국시대 토광묘 1기(철도, 철모) 조선시대 이후 묘 7기 조선시대 이후 가마 3기(자기·도기·기와편) 조선시대 이후 건물지 7기(백자접시, 백자대접, 분청자대접, 기와 등) 조선시대 이후 집석유구 4기(자기·기와편) 원삼국~삼국시대 구상유구 61기(파수부동이, 발형토기, 장란형토기, 완, 단경호, 대옹, 시루, 중도식토기, 망치돌 등) 조선 주형 3기(도기·기와편)
목차
차 례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지형 및 고고학적 환경 1. 자연·지리적 환경 2. 고고·역사적 환경 Ⅲ. 조사경과 Ⅳ. 조사내용 시굴조사 A. 1지구 1. 1지점 2. 2지점 3. 3지점 B. 2지구 1. 1지점 2. 2지점 3. 3지점 4. 4지점 5. 5지점 6. 6지점 발굴조사 A. 1지구 가. 청동기시대 1. 주거지 나. 원삼국~삼국시대 1. 주구토광묘 2. 분구묘 3. 토광묘 4. 수혈 5. 구상유구 다. 조선시대 이후 1. 주거지 2. 건물지 3. 수혈 4. 주혈 5. 가마 6. 묘 7. 집석유구 라. 지표수습유물 B. 2지구 가. 원삼국~삼국시대 1. 주거지 2. 수혈 3. 구상유구 나. 유물포함층 출토유물 다. 지표수습유물 Ⅴ. 고찰 Ⅵ. 맺은말 부록 1. 김포 양곡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2. 김포 양곡유적 유구 3D 스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