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 건조물 조선시대 궁궐 1개소(북한산성행궁지) 조선시대 장대 3개소(동장대, 남장대지, 북장대지) 조선시대 유영 및 창고터 7개소(경리청상창지, 훈련도감유영지, 금위영유영지, 어영청유영지, 호조창지, 중창지, 하창지) 조선시대 이후 누정 1개소(산영루지) 고려시대이후 사찰 23개소(중흥사 외 22개소) 고려시대이후 건축부재 103개소(기단석32, 초석11, 채석흔52, 기타8 등)
-기록유산 조선시대 선정비 28기(총융사신헌애민선정비 외 27기) 조선시대, 근·현대 암각문 2개소(북한승도절목, 3·1운동암각문) 조선시대 명문 3개소(백운동문, 청하동문, 상운동계) 조선시대이후 각자 11개소(금위영 각자 외 10개소)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사지역 및 주변환경 1. 자연지리적 환경 2. 고고학적 환경 3. 역사적 배경 Ⅲ. 북한산성 내 관영건물지와 금석문 1. 북한산성 행궁지(26구역) 2. 장대 3. 유영 및 창고터 4. 누정 5. 선정비군(20구역) 6. 북한산성내 암각문, 명문, 각자 7. 건축부재 및 채석흔 Ⅳ. 북한산성내 사찰과 불교문화재 Ⅴ. 북한산성 관련 주요 인물 1. 머리말 2. 조선전기 이전의 북한산성 관련 주요 인물 3. 조선후기 북한산성 관련 주요 인물 4. 맺는말 Ⅵ. 북한동 마을의 생활사 1. 북한산성 사람들과 이야기하다 2. 북한산성에 살던 사람들 3. 북한산성의 어제와 오늘 4. 조사를 마치며 5. 북한산민속조사 인터뷰 내용 Ⅶ. 조선후기 사회와 북한산성의 운영 1. 북한산성 축성의 정치·사회적 배경 2. 숙종대 중반 축성 논의의 전개와 축성의 경과 3. 숙종대 후반~영조대 전반 경리청의 설치와 북한산성의 정비 4. 영조대 중반 이후 총융청 관리체제로의 변화와 북한산성의 운영 5. 고종대 무위소 체제로의 변화 Ⅷ. 맺음말 부록 북한산성내 문화유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