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 경기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국가지정문화재, 등록문화재 및 비지정문화재에 대한 상시 보수 및 유지관리 함으로써 소중한 문화재의 훼손을 사전에 방지
- 문화재의 경미한 훼손 시 신속히 복구하는 예방적 문화재 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사후 보수 및 정비 예산의 절감
- 지역 인력의 적극 활용으로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부족한 지자체 문화재 담당 인력의 보완효과 거양
2. 사업개요
가. 사업기간
- 2013. 2. 18 ~ 2017. 12. 31.
나. 추진단체
- (재)경기문화재단 문화유산본부 경기문화재연구원
다. 조직도

라. 경기도 문화재 돌봄사업단 운영 인원
구분 | 편성인원 | 비고 | ||
---|---|---|---|---|
단장 | 김성태 |
|
||
기획행정부장 | 1명 | |||
자문위원 | 5명 | |||
사업총괄팀장 | 1명 | |||
행정지원팀 | 4명 | |||
전문모니터링팀 | 2명 | |||
경미보수팀 | 남부 | 3명 | ||
북부 | 3명 | |||
상시관리팀 | 북부권 | 상시1팀 | 3명 | |
상시2팀 | 3명 | |||
상시3팀 | 3명 | |||
동부권 | 상시4팀 | 3명 | ||
상시5팀 | 3명 | |||
남부권 | 상시6팀 | 3명 | ||
상시7팀 | 3명 | |||
상시8팀 | 3명 | |||
계 | 44명 | |||
문화재 훼손 신고센터 | – | |||
자원봉사단 | 39가족 |
|
마. 문화재 돌봄사업단 관리 대상문화재 : 532개소(2015년 현재)
총계 | 국가지정문화재 | 등록문화재 | 시도지정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
---|---|---|---|---|
532 | 74 | 9 | 392 | 57 |
바. 연간 사업추진일정
일정 | 추진내용 | 세부추진내용 | 비고 |
---|---|---|---|
연중 상시 | 문화재 상시관리 |
|
|
연중 상시 | 문화재 경미한 보수 |
|
|
연중 상시 | ‘한 가족 한 문화재 인연맺기’ 자원봉사활동 |
|
|
1월 | 채용자 집체 교육 |
|
|
2월 ~ 3월 | 문화재 표지석 정비 |
|
|
4월 | 자생초 이식 사업 |
|
|
5월 / 9월 | 흰개미 모니터링 실시 |
|
|
5월 ~ 6월 | 목조문화재 방충제 도포 |
|
|
7월 ~ 8월 | 문화재 돌봄교실 개최 |
|
|
9월 | 석조문화재 보존현황 조사 |
|
|
10월 ~ 11월 | 흰개미 피해 방지 토양처리 |
|
|
10월 | 국화 이식 사업 |
|
|
10월 ~ 11월 | 목조문화재 방염제 도포 |
|
|
11월 ~ 12월 | 목조문화재 크랙부분 수지 충진 |
|
3. 효과
- 관리대상 문화재의 상시 관리시스템 구축으로 문화재의 관람환경을 개선하고 보수예산 절감이 기대됨
- 철저한 상시 관리로 문화재 훼손 위험요소를 사전 차단함
- 경기문화재연구원의 전문기술력을 활용한 문화재 보존과 관리 강화
- 취약계층 인력 활용으로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등 경제 및 복지 효과 증대
- 시민들에게 참여공간을 제공하고 창의적인 홍보프로그램 운영으로 문화재에 대한 친밀감과 보호의식 제고